34세의 베아트리스 오리요는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가장 큰 임시 거주지인 키베라의 작은 방에서 세 자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오리요는 이 방의 월세로 한 달에 43달러 이상을 지출합니다. 하지만 방에는 화장실이 없어서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때마다 요금을 내야 합니다. 매일매일 가족의 모든 활동은 이 방 안에서 이루어집니다. 침실은 거실이자 주방이자 욕실이기도 하며, 세 자녀를 위한 놀이 공간은 그야말로 사치입니다.

오늘날 세상에는 오리요와 그녀의 어머니와 같은 운명을 맞은 가족들이 많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유엔 해비타트 보고서를 인용하여 전 세계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키베라와 같은 빈민가에서 살고 있으며, 이들은 주택, 깨끗한 물, 에너지, 위생 시설 등 기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세계 인구가 증가하고 삶의 변화를 위해 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2050년까지 빈민가 인구는 약 3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많은 국가 정부 에도 큰 과제로 작용합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케냐 도시 인구의 절반 이상이 현재 키베라와 같은 붐비는 빈민가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촌에서 온 이주민입니다. 이들의 직업은 주로 오토바이 운전사, 경비원, 공장 노동자, 임시직 등 하루 2달러 정도의 저소득 직종에 종사합니다. 물론, 이렇게 적은 소득으로는 수도 나이로비에서 괜찮은 아파트나 방을 빌릴 여유가 없습니다.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키베라 빈민가 한 구석. 사진: CNN

유엔 해비타트는 앞으로 슬럼 인구 증가의 50%가 나이지리아, 필리핀,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인도, 콩고, 이집트, 파키스탄 등 8개국에 집중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우리의 미래는 도시입니다...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와 소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2050년까지 도시 인구는 70% 증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도시의 불평등과 빈곤 문제 해결은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합니다."라고 유엔 해비타트 사무총장 마이무나 모하메드 샤리프는 말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유엔 해비타트 관계자들은 주택 부족 문제가 과거 개발도상국의 문제였지만, 이제는 미국, 영국, 독일과 같은 부유한 국가들조차 직면하고 있는 세계적인 위기로 확대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해비타트 지식혁신실장 에드람 예메루는 "세계적인 주택 위기는 전 세계 모든 지역에 걸쳐 존재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각국 정부는 오랫동안 슬럼에 거주해 온 사람들의 삶을 개선할 방안을 모색해 왔지만, 쉽지 않아 보입니다. 도시 슬럼에 거주하는 빈민 네트워크인 슬럼 거주자 인터내셔널(Slum Dwellers International)의 조셉 무투리 회장에 따르면, 각국은 슬럼을 도시 밖으로 이주시키는 대신 개선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슬럼에 거주하는 많은 가족을 도시 외곽의 새 주택으로 이주시키면 고립되고, 일자리가 줄어들며, 결국 아무리 낡고 비좁더라도 다시 예전 주택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용기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