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자 들이 발표한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후 12개월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받은 여아는 정상보다 일찍 사춘기를 맞을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한국에서 12개월 미만의 영유아 322,731명의 항생제 소비 데이터를 분석하고, 소녀들이 9세, 소년들이 10세가 될 때까지 추적 관찰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후 3개월 이전에 항생제를 처방받은 여아는 조기 사춘기 발병 위험이 33% 더 높았고, 생후 14일 이내에 항생제를 처방받은 경우 이 위험은 40%까지 증가했습니다.
게다가, 항생제를 5가지 이상 사용한 여아는 2가지 이하를 사용한 여아보다 조기 사춘기 위험이 22% 더 높았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항생제에 더 일찍, 더 자주 노출될수록 조숙성 사춘기 위험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소년의 경우 항생제와 조기 사춘기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윤수 교수는 학계에서 모유수유만 하면 조산의 위험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이전 연구에서도 보여주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장내 미생물군이나 내분비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요인이 어린이의 사춘기를 촉진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새로운 연구 결과도 이 가설을 다시 한번 뒷받침하므로, 의사와 부모는 어린아이에게 항생제를 처방할 때 그 장기적인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조숙성 사춘기, 즉 진정한 조숙성 사춘기(CPP)는 여아는 8세 이전에, 남아는 9세 이전에 사춘기가 시작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여아에게 더 자주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는 5월 10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 소아 내분비학회(ESPE)와 유럽 내분비학회(ESE)의 공동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출처: https://www.vietnamplus.vn/be-gai-dung-khang-sinh-trong-vong-12-thang-dau-co-nguy-co-day-thi-som-hon-post1039219.vnp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