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정치적 의지
지난 76년간 중국의 발전 행보는 중국이 아주 일찍부터 과학기술을 중시해 왔고, 국가 전략 전반에 걸쳐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줍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년 10월) 후 1개월 만에 중국은 현대 과학 성과를 바탕으로 산업, 농업 , 국방을 건설하고 발전시키며, 전국적으로 과학 연구를 조직하고 선도하며, 중국의 과학 연구 수준을 높이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과학원을 설립(1949년 11월)했습니다. 1978년 대규모 개혁개방을 실시한 후 중국 지도자 등소평은 과학기술의 현대화를 핵심으로 하는 '4대 현대화'를 재개하며 "현대과학기술 없이는 현대농업, 현대공업, 현대국방을 건설할 수 없다"는 모토를 내걸고 "과학기술이 제1생산력이다"라는 정치구호를 내세웠다 (1) . 중국은 과학기술제도 개혁을 획기적으로 추진하고, "과학기술 진전 가속화 결정", "과학기술과 교육으로 민족 부강을 이룩하자" 전략, "985공정" 등 일련의 중대 전략과 정책을 발표하여 21세기(1998년)에 맞춰 교육을 발전시키고자 했습니다. “2006~2020년 중장기 과학기술발전계획 개요”(2005). 지난 76년간 중국은 9개의 과학기술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 왔으며, 이는 중국이 이 분야의 계획과 전략 실행을 매우 중시하며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2012년 11월) 이래 중국은 "중국의 꿈"과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한다는 결의를 가지고 "혁신, 과학기술을 사회 생산력과 국가의 종합적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적 중심점으로 삼았습니다." 혁신을 기반으로 한 국가 발전 전략을 실행하고, 혁신을 국가 운명과 연계하며, “국가 종합력의 핵심은 혁신 역량이다” (2) 고 생각합니다. 중국은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2035년까지 과학기술 강국이 되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과학기술이 번창하면 나라가 흥하고, 과학기술이 강하면 나라가 강해진다”고 강조했습니다. 과학기술을 국가의 중대전략과 지속적으로 연계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중국 모델에 따른 현대화는 기술현대화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고품질 발전을 실현하려면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동력을 구축해야 한다” (3)고 명시했다. 2023년 9월부터 중국 국가주석 겸 총서기인 시진핑은 과학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신질량생산력'을 건설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중국은 전략적 방향에 따라 과학기술, 경제, 행정의 3대 기관의 동시적 개혁을 추진하여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요구 사항과 과제를 제시합니다. 기업의 역할을 존중하고, 정부와 시장의 역할 분담을 더욱 명확히 하며, 혁신을 장려하는 제도와 정책을 완벽화하고, 법률을 정비하고, 국가적 전략적 기술 인재 팀을 구축합니다.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161개 국가 및 지역과 과학기술 협력 관계를 수립하고, 200여 개 국제기구와 지역 및 국제 다자간 협력 메커니즘에 참여하며, 많은 국가와 기술 대화 메커니즘을 구축합니다. BRICS 신흥 경제국 그룹의 틀 안에서 일대일로(BRI), 글로벌 개발 이니셔티브(GDI)와 같은 주요 협력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제 과학 기술 협력을 주도합니다.
중국은 강력한 과학기술 개발 전략을 시행하면서 과학기술 기업, 과학 연구 기관, 대학 등 많은 주체와 협력하여 혁신을 촉진하는 조정된 행동 체계를 점차 형성했으며, 많은 자원을 연구 개발(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과학 연구 자금은 895억 7천만 위안에서 6,980억 위안으로 늘어났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2.79%였습니다. 연구개발비 지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에서 2010년 1.75%로 증가해 세계 평균(1.6%)을 넘어섰다 (4) .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의 연구개발비는 연평균 11.7%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총 투자 규모는 세계 2위, 성장률은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국가혁신발전전략에 따르면 2030년까지 중국의 GDP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과학기술 인재를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여기고 2035년까지 인재 강국을 건설한다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은 해외 유치와 국내 인력 양성을 병행하여 인재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은 2008년부터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과 다국적 기업에서 고급 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천인 계획'을 시행해 왔습니다. 2012년 중국은 국가 고급인재 특별지원계획(일명 '천인계획')을 계속 출범시켰는데, 이는 '천인계획'과 병행하여 국가 인재에 대한 특별한 재정 및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중국은 국민의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 국민 과학수준 향상 행동 계획(2021~2035)'을 발표했는데, 이 계획의 목표는 2025년까지 과학수준을 갖춘 인구 비중을 15% 이상으로 늘리고, 2035년까지 25%로 늘리는 것입니다. 농부, 노동자, 공무원, 노인, 청소년 등 특정 대상 그룹을 대상으로 기술 지식 강화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실행합니다.
세계 과학기술 지도에서의 위치 확립
지난 10년 동안 중국은 기술 자립 전략을 가속화하여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기술연구와 관련해서는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가 2023년 9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중요기술연구의 약 90%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5년(2019~2023년) 동안 57/64개의 첨단기술연구 프로젝트를 선도하고 있다 (5) . 2022년 미국 과학 저널 네이처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처음으로 세계 주요 과학 저널에 가장 많은 연구 논문을 게재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2024년 6월, 미국의 과학 전문지 네이처는 2024년 전 세계 연구 시설 순위를 발표했는데, 이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 주요 연구 시설의 7/10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특허 수도 크게 늘어 401만 5천 건에 달해, 중국은 2023년에 유효 특허 수가 400만 건을 돌파한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되었습니다.
세계 선도분야에 대해 중국과 국제적인 평가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인공지능(AI), 5G, 드론, 태양전지, 고속철도, 전기자동차, 리튬전지, 양자정보, 3D프린팅, 슈퍼컴퓨터 등 7~10개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2024년 9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전략을 컴퓨터 및 전자장비, 화학, 기계장비, 자동차장비, 기초금속, 금속제품, 전기장비 등으로 평가했다 (8) .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순위에 따르면 글로벌 혁신지수(GII)의 경우 중국의 GII는 최근 몇 년간 크게 향상되어 34위(2012년)에서 11위(2024년)로 올라 30위권에 든 유일한 중소득 경제권이 되었고, 34개 상위 중소득 경제권 중에서는 1위를 차지했으며,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17개 경제권 중에서는 한국과 싱가포르에 이어 3위를 차지했습니다 (9) . 이 지수는 2020년 이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몇 가지 정책적 의미
중국의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강력한 성장은 과학기술 개발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한 기관을 구축하고 완성하는 데 있어 이론과 경험을 모두 참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중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을 이행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과학기술 개발 경험은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한 여러 가지 정책 문제를 시사합니다.
하나는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투자입니다. 세계화와 제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그리고 중국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디지털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추세일 뿐만 아니라, 지역 및 세계와의 발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시급한 요구 사항입니다. 이는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줄 뿐만 아니라, 혁신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고 모든 계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동시에 디지털 전환은 장기적인 전략으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경제 지도에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0) . 따라서 자원을 분산하는 대신 핵심산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하고, 가공 및 제조 산업에 집중하는 것이 경제를 현대화 방향으로 재구조화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둘째, 데이터와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하세요. 중국의 경험은 AI 개발이 중국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이며, 디지털 인프라가 디지털 기술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디지털 생산방식 구축을 촉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제4차 산업혁명의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형성을 촉진해야 합니다.
셋째, 기술 사업을 촉진합니다. 중국의 세제 혜택과 벤처 캐피털 펀드는 많은 스타트업의 성공을 촉진했습니다. 중국의 기술 기업팀은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으며 높은 국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친환경 기술 분야의 스타트업에 대한 연구와 적용에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연계를 장려하고, 교육과 실습을 결합한 효과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가치 사슬에 참여하고 디지털 기술 제품을 국제 시장에 출시하는 것이 용이해집니다.
넷째,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한다.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이란 지능, 기술, 능력을 모두 갖춘 인력으로, 국가 현실과 현행 노동시장의 요구와 임무에 맞게 기본적으로 심도 있게 훈련된 인력을 말한다. 전반적으로 고품질의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특히 과학기술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것은 지식기반 경제 발전의 맥락에서 경제 발전, 심층적 통합, 지속 가능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는 중요하고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중국의 인재 유치 프로그램은 첨단기술 인재를 유치하고, 매력적인 근무 환경을 구축하고, 과학 연구와 혁신을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귀중한 참고 자료이며, 이를 통해 국내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 무대에서 선도적인 디지털 기술 기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기술적 자율성, 정보 보안 및 사이버 보안에 대한 숙달을 포함하여 국가 주권, 안보 및 개발 이익을 보호하는 어려움과 과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 계획을 갖는 것도 필요합니다. 기술 응용 분야 개발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 연구, 핵심 기술 및 원천 기술에도 투자합니다.
중국의 강력한 과학기술 분야는 과학기술 협력, 기초 및 응용연구 협력 강화, 경영 및 개발 경험 공유, 기술이전, 고급인재 양성 협력, 첨단기술을 산업 및 직업 업그레이드에 적용, 경제성장 촉진, 사회보장 확보 등 협력관계를 발전시키는 기초입니다. 동시에 중국이 잠재력이 있는 여러 분야에서 중국과 과학기술 협력을 추진하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정보통신기술(ICT), 5G 기술, AI, 사물인터넷(IoT) 개발을 위한 솔루션 연구 개발 협력 등이 있습니다. 국가 행정, 도시 관리, 스마트 교통, 물류, 교육 및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합니다. 2- 청정에너지 및 환경, 신에너지기술, 재생에너지,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기술 개발 협력 폐기물 처리 기술, 재활용 기술, 환경 보호 등 녹색 전환 방향과 관련된 분야의 응용; 3- 생명공학 및 제약, 의료, 약물 연구 개발 협력, 생물의학 기술, 의료 분야의 AI 응용, 특히 중국이 강점을 가진 분야, 예를 들어 진단, 치료 및 환자 관리에 AI를 지원하여 스마트 병원을 개발하고 현대 의학과 전통 의학을 결합하는 분야. 농업 생산 현대화, 기상 예보, 질병 관리, 식물 품종 개발 및 생산 최적화 분야에서의 경험 교환 및 기술 이전 4- 자동 통관, 스마트 국경 게이트 모델 구축, 제품 추적 및 지리적 표시를 포함한 행정 관리 및 전자 상거래를 포함한 실현 가능한 분야에 AI와 빅데이터를 적용합니다 .
--------------
(1) 참조: “중화인민공화국의 윤곽: 덩샤오핑은 과학기술이 생산력의 제1이라고 확언했다”, 신화통신, 2009년 10월 10일, https://www.gov.cn/test/2009-10/10/content_1435113.htm
(2) 참고: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혁신발전 국가전략”, 신화통신, 2016년 5월 19일, https://www.gov.cn/zhengce/2016-05/19/content_5074812.htm
(3) 참조: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전국과학기술대회 및 양원 학술위원대회 연설”(가제 번역: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전국과학기술대회 및 양원 학술위원대회 연설), 신화망, 2024년 6월 24일, http://www1.xinhuanet.com/politics/20240624/9b65276ff83241ecae6458f4997516af/c.html
(4) 참조: “지난 50년 동안 각국의 학자 수는 어떻게 변했는가?”, Sohu, 2018년 11월 20일, https://www.sohu.com/a/276543117_651893
(5) “ASPI의 20년 핵심 기술 추적: 장기 연구 투자의 보상”, ASPI, 2024년 8월 28일, https://www.aspi.org.au/report/aspis-two-decade-critical-technology-tracker
(6) 로버트 D. 앳킨슨: “중국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선도적인 혁신 국가가 되고 있습니다”,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2024년 9월 16일, p. 2, https://itif.org/publications/2024/09/16/china-is-rapidly-becoming-a-leading-innovator-in-advanced-industries/
(7) “글로벌 AI 파워 랭킹: 스탠포드 HAI 툴, AI 부문 36개국 순위”, 스탠포드 대학교, 2024년 10월 21일, https://hai.stanford.edu/news/global-ai-power-rankings-stanford-hai-tool-ranks-36-countries-ai#:~:text=China%20in%20Second%2C%20But%20Falling%20Behind&text=On%20several%20key%20indicators%2C%20the
(8) 참조: “해밀턴 지수, 2023: 중국은 전략 산업으로 도주하고 있다”,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2023년 12월 13일, https://itif.org/publications/2023/12/13/2023-hamilton-index/
(9) “2024년 글로벌 혁신 지수 중국 순위”, WIPO, 2024, https://www.wipo.int/gii-ranking/en/china
(10) 참조: To Lam: “국내 기술 산업을 강력하게 발전시키고 세계 기술 지도에서 베트남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 자립 및 자율성을 위한 노력”, Electronic Communist Magazine, 2025년 1월 15일, https://www.tapchicongsan.org.vn/en/web/guest/tieu-iem1/-/asset_publisher/s5L7xhQiJeKe/content/cac-doanh-nghiep-cong-nghe-so-viet-nam-khong-ngung-doi-moi-sang-tao-gop-phan-vao-su-phat-trien-manh-me-cua-nganh-cong-nghe-nuoc-nha-va-nang-cao-vi-the
출처: https://tapchicongsan.org.vn/web/guest/the-gioi-van-de-su-kien/-/2018/1087202/chien-luoc-xay-dung-cuong-quoc-khoa-hoc---cong-nghe-cua-trung-quoc-va-mot-so-van-de-goi-mo-ve-phuong-dien-chinh-sach.aspx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