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헬드 파이 - 미국 뉴욕의 풍부한 맛을 자랑하는 간편한 길거리 음식. (출처: SCMP) |
삶의 속도가 빠르고 계절에 따라 요리 트렌드가 바뀌는 미국 뉴욕에서는 최근 장인이 만든 커피, 도넛, 트렌디한 칵테일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습니다. 대신, 평범해 보이는 휴대용 베이커리 제품이 유행을 타면서 도시 생활의 새로운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간단한 요리가 도시 트렌드로 자리잡다
라틴 엠파나다(굽거나 튀겨서 만든 달콤하거나 짭짤한 반죽 포장지)부터 이스라엘 부레카, 삼사, 차슈 또는 카리브해식 변형까지 모두 편리함, 다양성, 강렬한 맛을 제공합니다.
뉴욕 시민들은 이 작고 귀여운 케이크의 매력에 점점 더 매료되고 있습니다. 간단히 한 끼 식사로 충분하면서도 간식으로도 안성맞춤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손에 들고 먹을 수 있는 케이크 가게들이 잇따라 생겨나면서, 손에 들고 먹을 수 있는 케이크는 도시 생활의 익숙한 일부가 되었습니다.
부바 부레카(Buba Bureka)는 네 가지 다른 속 재료를 넣은 이스라엘식 부레카를 제공합니다. (출처: Buba Bureka) |
그리니치 빌리지 중심부에 있는 테이크아웃 전문점 부바 부레카의 공동 창업자인 벤 시만-토브는 "이스라엘 문화에서 이 케이크는 시그니처 케이크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케이크를 "스파나코피타와 크루아상을 섞은 것"에 비유했습니다.
부바 부레카는 소셜 미디어 덕분에 지난 몇 달 동안 빠르게 인기 명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메뉴에는 페타 치즈, 후추를 뿌린 으깬 감자, 아티초크를 곁들인 시금치, 코티하 치즈를 곁들인 옥수수 등 다양한 토핑이 준비되어 있으며, 가격은 각각 18달러입니다.
구운 식품을 통한 사회적 관점
뉴욕 대학교의 크리슈넨두 레이 교수에 따르면, 손으로 들고 먹는 빵류의 확산은 팬데믹 이후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합니다.
"우리는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많은 혼란을 겪었어요."라고 그는 말한다. "손에 음식을 쥐고 있으면 마음이 더 든든해지죠."
팝스 패티스의 카레 염소 파이. (출처: Instagram/popspatties) |
이러한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다문화적 요소는 뉴욕에서 이러한 추세를 더욱 확산시킵니다. 『이슬라스: 열대 요리의 향연』 의 저자 폰 디아즈 씨 (대략 번역: 이슬라스: 열대 요리 기념)은 "모든 사람은 자신의 문화에서 빵이나 반죽에 싸인 고기나 야채의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엠파나다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티티 엠파나다의 공동 창립자인 헤수스 빌라로보스는 "아무도 엠파나다가 뭔지 묻지 않아요. 그냥 안에 뭐가 들어 있는지 알고 싶을 뿐이죠."라고 말합니다.
그에게 엠파나다는 창의적인 캔버스와 같습니다. "엠파나다 세계 에서는 피자에 파인애플을 넣는 것에 대한 논쟁이 없습니다." 티티의 메뉴에는 피자로 채워진 엠파나다도 있지만, 파인애플은 전혀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는 손님들의 관심을 끄는 선택입니다.
인기와 함께 가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빌라로보스 씨는 솔직하게 말합니다. "점점 더 많은 고객들이 빠듯한 예산으로 미식 경험을 찾고 있습니다." 따라서 티티스는 품질과 가격 모두에 집중합니다. 3.50달러짜리 감자 치즈 엠파나다부터 7.50달러짜리 정교한 천 겹 크러스트를 얹은 소꼬리찜 엠파나다까지 말입니다.
팝스 패티스의 창립자인 다니엘 에디도 이러한 감정에 공감하며, "8달러짜리 라떼는 합리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같은 가격의 미트파이는 너무 비싼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했습니다.
팝스 패티스의 경우, 카레 파이에 목초 사육 소고기, 유기농 방사 닭고기, 심지어 염소고기까지 사용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그 결과, 이 레스토랑은 일주일에 약 2,000개의 카레 파이를 판매합니다. 셰프 셔윈 버로우스는 "어머니께서 만들어 주시던 소꼬리 엠파나다는 항상 매진됩니다."라고 말합니다.
길거리 음식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다
오븐에서 갓 나온 부레카가 담긴 접시. (출처: 게티 이미지) |
더 이상 작은 가게에만 국한되지 않고, 손으로 직접 만드는 파이는 뉴욕 요리의 "큰 무대"로 진출했습니다.
링컨 센터(뉴욕의 유명 공연 예술 단지)에서 셰프 콰메 온와치가 패티 팰리스 메뉴에 핸드헬드 파이를 선보였습니다. 카레 치킨과 버섯 저크 샌드위치에 코코넛 빵, 생강 양배추, 그린 아이올리, 바비큐 저크를 곁들여 제공하며 가격은 18달러입니다.
폰 디아즈는 셰프 온와치가 길거리 음식을 세련된 경험으로 바꾸었다고 말합니다. "사람들은 '이걸 먹으면 어디로 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파이 하나에 18달러를 지불합니다."
사실, 뉴욕 가격과 비교하면 비싼 편은 아닙니다. Barney Greengrass의 철갑상어 샌드위치는 25달러이고, Sweetgreen의 랜치 소스를 곁들인 치킨 한 그릇은 약 18달러입니다.
팝스 패티스 창업자 다니엘 에디는 "오랫동안 기다려온 변화"라고 말했습니다. "바 카바와에 가서 12달러에 패티를 먹을 수 있다는 건 정말 좋은 일이에요. 문화, 제품, 노동에 대한 존중이 담겨 있으니까요."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티티엠빠나다의 엠빠나다. (출처: 티티의 엠빠나다) |
바 카바와는 셰프 폴 카마이클이 창립한 카리브해 요리 바로, 8가지 종류의 패티를 선보이는 "노아의 방주" 메뉴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튀긴 오트밀 패티는 10달러부터 게살과 호박 패티는 18달러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판매됩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15달러짜리 소고기 패티인데, 카마이클은 이 패티를 어떤 레스토랑에서든 "꼭 먹어야 할" 메뉴라고 말합니다. 그는 한 입만 먹어도 슈퍼마켓에서 파는 패티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강조합니다.
부바 부레카부터 티티스, 팝스 패티스, 패티 팰리스, 바 카바와까지, 손에 들고 먹는 파이의 여정은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한때 거리와 연관되었던 이 요리가 이제는 유명한 요리 공간으로 옮겨왔다는 것입니다.
셰프들의 창의성과 손님들의 따뜻한 환대 덕분에 손에 들고 먹는 케이크는 단순한 이미지를 벗어나 뉴욕 요리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출처: https://baoquocte.vn/con-sot-banh-nuong-cam-tay-o-new-york-my-32693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