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7월 20일, 주로 수출용으로 생산되는 바스마티쌀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쌀 수출을 금지했습니다. 이는 쌀 가격을 안정시키고 혹독한 기후로 인한 국내 식량 부족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최근 분석 보고서에서 영국 은행 바클레이즈는 말레이시아가 인도산 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가장 취약한 국가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주로 해외에서 쌀을 수입하며, 그중 인도산 쌀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싱가포르도 쌀 수입의 약 30%를 인도산 쌀이 차지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클레이즈 분석가들은 싱가포르가 인도에 쌀 수출 금지 조치에서 면제를 요청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2023년 7월 27일, 인도 아삼주 나가온의 밭에 농부들이 벼를 심고 있다. 사진: VNA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폭우와 가뭄으로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주요 쌀 생산국의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서 쌀 가격은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바클레이즈 애널리스트들은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필리핀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세계 쌀 가격 상승의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인도의 쌀 수출 금지 조치로 영향을 받는 지역은 아시아만이 아닙니다. 피치 솔루션즈 산하 시장조사기관인 BMI 리서치에 따르면, 취약한 시장으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특히 지부티, 라이베리아, 카타르, 감비아, 쿠웨이트가 포함됩니다.

인도가 일반 쌀 수출을 금지하자 주식인 쌀을 먹는 데 익숙해진 소비자들 사이에 불안감이 조성되었고, 사람들(주로 남아시아 지역 주민)이 쌀을 사재기하기 위해 몰려들면서 전 세계 상점에서는 가격을 조정하고 공급을 제한해야 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인도의 일반 쌀 가격은 7월에 거의 10% 상승했습니다. 작년 9월 인도의 일반 쌀 1톤 가격이 약 330달러였던 것이 현재 450달러에 달합니다. 인도는 세계 최대 쌀 생산국으로, 전 세계 쌀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합니다.

VNA

*관련 뉴스와 기사를 보려면 국제 섹션을 방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