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nam.vn - Nền tảng quảng bá Việt Nam

유럽연합 외국인 직접 투자 동향: 베트남의 기회와 과제

TCCS - 유럽연합(EU)은 세계 주요 투자국입니다. 지정학적, 지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으로 EU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추세는 규모, 부문 및 입지 측면에서 조정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이러한 변화는 특히 EU로부터의 FDI 유치를 통해 협력 효율성을 높이고 양질의 자본을 유치하는 데 있어 기회와 과제를 동시에 제시합니다. 이는 해당 국가의 사회경제적 발전 방향에 부합합니다.

Tạp chí Cộng SảnTạp chí Cộng Sản19/07/2025

정치국 위원이자 총리인 Pham Minh Chinh가 2025년 6월 9일 프랑스 니스에서 유럽 위원회 위원장인 Ursula von der Leyen을 만났습니다. 사진: VNA

EU 외국인 직접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계는 정치, 경제 , 과학 기술, 환경적 측면에서 심오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는 국제 투자 자본 흐름에 다차원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요 국가 간의 전략적 경쟁이 두드러지면서 다국적 기업(MNE)들은 글로벌 투자 전략을 조정하게 되었습니다.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의 2024년 세계 투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세계 100대 기업(금융 부문 제외)의 신규 투자(그린필드 투자) 흐름이 지역화 추세에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본사 또는 핵심 목표 시장과 가까운 국가(니어쇼링)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반도체, 제약, 환경 기술과 같은 전략적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생산 거점을 자국 내로 이전해야 한다는 정치적 압력과 더불어, 점점 더 엄격해지는 환경 규제, 그리고 자동화 및 로봇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투자 배분 전략에서 개발도상국의 저임금 이점을 크게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은 강력한 발전과 명확한 형성의 시기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2020년 이후 수많은 신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은 정치, 경제, 문화·사회 , 그리고 국제관계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FDI 자본 흐름은 효율성 추구에서 지역 시장으로, 즉 수직적 글로벌 가치 사슬 투자에서 파급 효과가 큰 생산 시설 및 산업 클러스터 투자 모델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은 글로벌 "충격"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공급업체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및 재구조화 추세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소수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지양하고, 비용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위험을 다각화해야 할 필요성을 반영합니다. 또한, 기후 변화와 녹색 전환 요구는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및 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며 환경 친화적인 방향으로 투자 및 생산 모델을 모색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위의 요인들 외에도 EU FDI는 내부 정책 조정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EU는 대외 투자에 대해 더욱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시장 접근 및 비용 최적화에서 전략적 요소, 공급망 회복력, 국가 안보 우려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배터리, 의료, 제약, 디지털 기술, 청정 에너지와 같은 핵심 분야에 대한 기업의 투자를 장려하는 "전략적 자율성" 정책이 있습니다. 동시에 반도체, 인공지능(AI), 양자 기술 등 민감한 분야에 대한 투자 심사 메커니즘은 EU 기업들이 역외 첨단 기술에 투자할 때 더욱 신중한 태도를 취하게 합니다. 또한 EU 그린딜(Green Deal)과 지속가능 개발 규제 시스템은 EU FDI 유입을 재생에너지, 환경 기술, 지속가능한 생산 분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EU 기업들은 청정에너지 개발 잠재력이 있는 파트너와 시장을 점점 더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생산 기준을 적용하고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있습니다.

EU 외국인 직접 투자의 주요 동향

위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이 더해지면서 EU의 세계화 방식이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EU의 해외 FDI 유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0년 이후 EU의 해외 FDI 유입은 회복 속도가 느리고 불안정했으며, 지역, 부문, 투자 목표 측면에서 상당한 조정을 겪었습니다.

투자 자본 측면에서 1990년대부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까지 EU는 세계 최대의 FDI 수령자였습니다. 2010-2019년 기간 동안 EU의 연평균 FDI 유출은 약 5000-6000억 USD였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EU의 FDI 유출은 급격히 변동했습니다. 2021년에 크게 증가한 후 투자 규모는 연간 약 1700-1800억 USD로 감소하여 EU는 총 FDI 측면에서 미국과 일본에 뒤처졌습니다. UNCTAD 통계에 따르면 지난 2-3년 동안 EU의 FDI는 둔화 조짐을 보였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기간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한편 미국, 일본, 중국과 같은 다른 주요 경제 중심지에서의 FDI 흐름은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했으며 2018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1) .

분야에 관하여 투자 활동은 주로 EU와 EU 생산 및 환경 기준을 충족하는 중요 원자재 공급 능력이나 첨단 기술 개발 잠재력을 갖춘 일부 국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서유럽 인근 지역으로의 외국인 직접 투자 유입 증가는 EU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부문으로 제조업 활동이 전환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인접 유럽 15개국의 제조업 부문에서 각 외국인 직접 투자 프로젝트의 평균 자본 규모는 2019년 4,450만 달러에서 2023년 1억 3,080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2) .

EU 다국적 기업들은 서비스 부문으로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FDI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100대 다국적 기업의 FDI 프로젝트 중 서비스 부문이 약 3분의 2를 차지하며, 그중 53개가 EU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기술 부문에서만 서비스가 전체 FDI 프로젝트의 91%를 차지합니다 (3) . 또한 유럽과 북미 지역의 다국적 기업들은 필수적인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 서비스 센터 설립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FDI 활동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투자 지역 측면에서 EU 기업들은 중국을 비롯한 주요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점진적으로 투자 전략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EU 내, 인접 유럽 국가, 또는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정치·경제 관계를 가진 국가(프렌드 쇼링)를 우선시하는 방식으로 투자 전략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의 목표는 통제력을 강화하고 지정학적 및 지경제적 위험을 최소화하며 공급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주요 시장에서의 철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역에 대한 의존성을 피하기 위해 기업이 현존하는 '위험 감소' 및 다각화 전략을 반영합니다. 이는 EU 다국적 기업의 투자 활동에서 점점 더 뚜렷해지는 지역화 추세를 반영합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EU 기업이 생산을 서유럽에 더 가깝게 옮기는 추세가 계속해서 강력하게 촉진되고 있습니다. fDi Markets에 따르면 2022~2023년 기간 동안 중부 및 동부 유럽(CEE)과 북아프리카 지역의 15개국에서 생산 프로젝트에 투입된 총 자본은 820억 달러를 초과할 것입니다. 이는 지금까지 2년 연속 최고 수준이며 COVID-19 팬데믹 이전 2년(2018~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62% 증가했습니다 (4)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은 여전히 EU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이지만, EU에서 중국으로의 FDI 흐름은 최근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및 기술 경쟁의 영향과 중국 기업이 점점 더 강력해지고 EU 기업과 더 치열하게 경쟁하기 때문입니다. 2019년 이후 BASF, Volkswagen, BMW(독일) 등 여러 대형 EU 제조 기업은 이전 5년 기간에 비해 중국으로의 신규 FDI 수를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5) . 한편, 인도는 대규모 국내 시장, 풍부한 인적 자원, 인도 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지정학적 및 지경제적 위치라는 이점 덕분에 COVID-19 팬데믹 이후 EU의 전략적 투자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은 EU의 다각화 및 위험 감소 정책과 일치합니다. 연평균 코로나19 이후 EU에서 인도로 유입된 FDI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보다 증가했습니다. 많은 EU 기업들이 중국 외 지역에서 더욱 유연하고 다각화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인도를 매력적인 대안 또는 보완적 투자처로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는 EU의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전략에 있어 지속적으로 관심 지역입니다. 싱가포르는 주요 지역 금융, 기술 및 서비스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유지하며 고부가가치 FDI 유입을 유치하고 있으며, 많은 EU 기업의 지역 본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EU에서 싱가포르로 유입되는 FDI는 주로 연구 개발(R&D), 지역 운영 센터, 금융 서비스, 정보 기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 분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는 비교적 숙련된 인력과 선진화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EU가 전자 제조, 의료 장비, 정보 기술 서비스 분야의 투자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태국 에서는 EU가 특히 자동차 및 부품, 전자 및 서비스 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시장 규모와 풍부한 천연자원 측면에서 유리한 입지를 바탕으로 EU 투자의 잠재적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EU의 인도네시아 투자는 주요 광물 가공(특히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과 소비재 제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향후 몇 년 동안 EU의 대외 직접 투자 활동 전반,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주요 경제 중심지 간의 전략적 경쟁,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발전, 녹색 전환 추세, 그리고 EU의 전략적 자율성 증진의 영향을 계속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째, EU는 "중국+1" 또는 "중국+N"과 같은 모델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유리한 사업 환경을 갖춘 시장에 대한 투자의 다자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여기서 "N"은 비용 최적화 및 공급망 보안 확보를 위한 국가 그룹일 수 있습니다. 둘째, 향후 EU의 FDI는 전략적 자율성 역량 구축이라는 목표에 따라 재생에너지, 지속가능한 생산, 순환경제와 같은 녹색 전환 관련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기준은 EU의 사업 의사 결정 과정 및 투자 지역 선정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정치적 신뢰성, 다각화 잠재력, 공급망 보안 측면에서 EU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고품질 인적 자원과 발달된 디지털 인프라를 보유한 국가는 EU로부터 FDI 유입을 유치하는 데 유리할 것입니다.

EU에서 베트남으로의 FDI 유치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 과제 및 몇 가지 해결책

베트남과 EU가 1990년에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한 이래 EU는 항상 혁신과 국제 통합 과정에서 베트남의 주요 파트너 중 하나였습니다. 현재까지 양측은 1995년에 체결된 기본 협력 협정(FCA), 2016년부터 발효된 포괄적 파트너십 및 협력 협정(PCA), 2020년부터 발효된 베트남-EU 자유 무역 협정(EVFTA), 비준을 기다리는 베트남-EU 투자 보호 협정(EVIPA) 및 기타 여러 양자 협력 협정 및 협정을 포함하여 중요한 법적 및 제도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양자 협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경제적으로 EU는 현재 베트남의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자 일곱 번째로 큰 FDI 투자자입니다. 동맹 수준의 협력 외에도 베트남-EU 관계는 각 회원국과의 양자 관계를 통해 강화되었으며, 베트남은 모든 주요 EU 회원국과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 전략적 파트너십 또는 포괄적 파트너십을 수립했습니다.

다낭시에 위치한 THACO 고급 승용차 공장에서 유럽형 다목적 차량인 푸조 트래블러를 조립하는 모습_사진: VNA

베트남과 EU의 관계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정치적 신뢰가 더욱 공고해짐에 따라, 전반적인 경제 협력, 특히 양자 투자 협력, 특히 양측이 공통의 필요와 이익을 공유하는 분야 및 분야에서 많은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EU와 대부분의 회원국은 베트남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략의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토 람 사무총장과의 전화 통화에서 안토니오 코스타 유럽이사회 의장은 양측이 서로에게 "중요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파트너"임을 강조하며,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EU의 핵심 파트너이며, 베트남과 EU의 관계는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될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6) .

복잡한 세계 지정학적 및 지경제적 상황 속에서 베트남은 EU의 FDI 유치를 촉진할 수 있는 유리한 기회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특히 EU가 투자 지역을 다각화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추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사회·정치적 배경, 역동적인 경제 발전, 그리고 일관된 외교 정책을 갖춘 베트남은 많은 EU 기업들로부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FDI 촉진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위에서 언급한 유리한 요소들을 활용하며, EU의 투자 전환 전략(우방국 및 우방국으로의 투자 전환)에서 베트남을 신뢰할 수 있는 "우방국"으로 명확히 자리매김한다면, 베트남은 향후 EU로부터의 FDI 자본 유입 규모와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베트남은 EU의 외국인 투자 정책 조정을 활용하여 새로운 개발 단계의 우선 분야 및 분야에 대한 EU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EU가 "유럽 그린 딜" 이행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녹색 전환 및 환경, 특히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는 양측 간 투자 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로 부상했습니다. 최근 코펜하겐 인프라 파트너스(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 Ørsted(덴마크), PNE(독일), Air Liquide(프랑스) 등 여러 EU 대기업이 베트남에서 풍력 발전 프로젝트, 친환경 수소 생산 및 에너지 저장 기술을 연구 및 시행하고 있는 것은 EU의 "녹색" 투자 추세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줍니다. 베트남이 지속가능한 개발 방향과 EU 투자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집중적인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한다면, 이 지역에서 양질의 외국인 직접투자 자본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높은 정치적 신뢰, 젊은 인력, 적극적인 지원 정책, 초기부터 형성된 반도체 생태계 등을 갖춘 베트남은 EU가 공급망 다변화를 촉진하는 맥락에서 디지털 혁신, 반도체, 제약, 의료 장비, 생명공학 분야에서 EU의 FDI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갖추고 있습니다.

베트남이 EU로부터 FDI를 유치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점 중 하나는 EVFTA와 EVIPA (7) 의 이행입니다. EVFTA의 특혜 관세 약속과 원산지 규칙은 EU 기업이 베트남을 EU로 수출하거나 해당 지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생산 기지로 고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서비스, 노동, 환경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약속은 물류, 금융, 정보 기술 및 녹색 전환과 같은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투자도 촉진합니다. 명확하고 투명한 투자 보호 규정을 통해 EVIPA는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하거나 확장할 때 EU 투자자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협정이 아직 발효되지 않았음에도 EVIPA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투자 환경을 구축하려는 베트남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는 향후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EU로부터의 FDI 자본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홍보해야 할 경쟁 우위입니다.

베트남은 엄청난 기회 외에도 EU로부터의 FDI 유치에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 이후 EU의 느린 경제 회복과 증가하는 보호무역주의 추세는 EU 기업의 해외 투자 동기를 약화시켰습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동안 EU에서 베트남으로의 FDI 자본 흐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외국인 투자청(기획투자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EU에서 베트남으로의 총 등록 FDI 자본은 46.24% 감소했고, 2023년에는 27.57% 감소했으며, 2024년에는 43% 감소했습니다 (8) . 이는 EU에서 새로운 FDI 자본 흐름을 유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EU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국제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에 상당한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EU의 공급망 보안을 위한 "전략적 자율성" 정책은 유럽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국가들에게 이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많은 국가들이 제조업, 산업, 재생에너지, 디지털 기술, 물류, 인프라와 같은 우선순위 분야에 중점을 두고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및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필리핀은 2023년부터 전략 산업 분야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그린 코리도(Green Corridor) 투자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분야에서 EU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했습니다. 태국은 기후변화법, 탄소 가격 책정 및 세금 프로그램 등 "녹색" 투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는 동시에 기업들이 EU 환경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EU의 전략 및 정책 조정은 베트남으로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EU가 일부 민감한 분야에 대한 해외 투자 심사 메커니즘을 시행함에 따라, 엄격한 통제 절차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EU 기업들이 베트남에서 반도체, 인공지능(AI), 양자 기술 등 첨단 기술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더욱 신중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엄격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기준을 적용하는 "유럽 그린딜" 또한 베트남 기업에 투자 협력에 대한 높은 기준을 요구합니다. EU 공급망에 참여하기 위해 베트남 기업은 투명성, 추적성, 노동 및 환경 관련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 프로세스 및 지배구조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EU의 공급망 전환 및 녹색 전환과 관련된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에 대한 접근이 제한될 것입니다.

EU의 FDI 추세 변화는 이 블록으로부터 FDI를 유치하는 데 있어 기회와 어려움을 동시에 가져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최대한의 기회를 실질적인 결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과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동의 FDI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선제적 대응에 중점을 두고, 파트너, 산업/분야 및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대한 초점을 명확히 정의하며, 효율성, 전문성, 그리고 실행 체계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다른 FDI 파트너국들과 달리 EU는 회원국들이 각기 다른 잠재력, 사업 문화, 그리고 해외 투자에 대한 전략적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질적인 블록이 아닙니다. 따라서 EU의 FDI 유치를 현재의 광범위한 접근 방식에서 국가, 우선 분야/부문, 그리고 목표 기업이라는 세 가지 수준에 집중하는 집중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우선, "각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라는 모토에 따라 EU 회원국들을 세분화하고, 지리적 영역, 비즈니스 문화, 파트너의 강점 및 대응력을 유연하게 결합하여 FDI 유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합니다. 국제 경험을 바탕으로 EU를 지리적, 강점, 그리고 해외 투자에 대한 전략적 우선순위에 따라 국가 그룹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DACH),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베네룩스), 북유럽, 남유럽(스페인, 이탈리아 등), 동유럽 그룹 등이 있습니다. 각 국가 그룹은 FDI 유치에 있어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독일은 제조업(자동차, 기계, 정밀 공학), 자동화, 재생에너지, 화학, 제약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품질 공급망 다각화를 중시합니다. 따라서 독일의 FDI 유치 전략은 품질, 신뢰성, 그리고 글로벌 가치 사슬 참여 역량을 강조해야 합니다. 한편, 네덜란드는 물류 서비스, 첨단 농업, 핀테크, 청정 에너지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물류 센터, 항만, 스마트 농업, 환경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네덜란드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위한 메시지는 투자를 유치하는 국가의 지정학적 이점과 더불어 역내 물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농업 구축에 대한 의지를 강조해야 합니다.

국가적 차원의 투자 외에도, 베트남의 경쟁 우위, 발전 방향성, 그리고 파트너들의 실질적인 니즈를 바탕으로 EU의 FDI 유치를 위한 우선 분야와 분야를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베트남은 젊은 인적 자원, 높은 기술 수준, 일부 생산 단계의 합리적인 비용, 그리고 매력적인 투자 인센티브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EU는 산업 및 기술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칩 공급망 다각화와 전략 부품 생산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반 위에, 반도체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EU의 FDI 유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베트남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이자 아시아 지역에서 EU의 잠재적 혁신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강조해야 합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FDI 프로젝트를 유치하고, 베트남 첨단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국가별 및 우선순위 산업/지역별로 세분화한 후, 베트남에 투자 잠재력이 높은 EU 기업을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홍보 및 홍보 활동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기업의 경우, 외교 채널, 정부 부처, 지사 또는 해당 기업의 경영진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명망 있는 컨설팅 기관을 통해 고위급 접근 방식을 구축해야 합니다. 최근 반도체 부문에서 엔비디아(미국)가 성공적으로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유치하고 유치한 경험은 EU 대기업의 베트남 투자를 촉진하는 데 유용한 실질적인 참고 자료입니다. 특히, 전략적 투자자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투자 유치를 강화하기 위해 적절한 인센티브 및 지원 정책 패키지를 적극적으로 구축해야 합니다.

위의 조치들과 함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행정 절차 개혁을 포함한 제도 및 법률의 완벽한 해결책을 동시적이고 실질적으로 이행해야 합니다. 투자 환경 개선, 인프라 현대화, 그리고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야 합니다. 동시에, 전문적이고 현대적인 방향으로 투자 서비스의 질을 혁신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EU 국가 내 베트남 FDI 유치 담당자들의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전문성과 뛰어난 실행력을 갖춘 FDI 유치 담당자 팀을 구축해야 합니다. 이러한 해결책이 동시적이고 효과적으로 이행될 때, 베트남은 EU의 긍정적인 대외 투자 추세를 활용하여 EU로부터 양질의 FDI 자본을 유치하고, 새로운 시대의 사회경제적 발전 목표와 방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본 논문은 과학기술부의 국가과학프로젝트 "베트남 해산물 기업의 EU 시장으로의 국제경제 통합 효과성 개선을 위한 솔루션 연구" (코드: KX.06.04/21-30)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참조: “세계 투자 보고서 2024”, 유엔 무역 개발(UNCTAD), 2024, https://unctad.org/publication/world-investment-report-2024
(2) 참조: “2024년 세계 투자 보고서”, Ibid.
(3) 참조: Alex Irwin-Hunt: “유럽 근처 니어쇼어링 FDI의 증가”, fDi Intelligence, 2024년 2월 21일, https://www.fdiintelligence.com/content/7944b519-4da7-56d7-b1b5-c0fdbe0e10fd
(4) Alex Irwin-Hunt: “유럽에 가까운 니어쇼어링 FDI의 증가”, Tlđd
(5) 알렉스 어윈-헌트: “ 대형 다국적 기업들이 더욱 지역화되고 있다 (번역: 다국적 기업들이 운영을 지역으로 점차 이전하고 있다, fDi Intelligence, 2024년 7월 10일, https://www.fdiintelligence.com/content/8449cd89-6c5a-5481-bee9-781785814e9e)
(6) BNG: “베트남-EU 관계는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되어야 한다”, 정부 전자신문, 2025년 4월 30일, https://baochinhphu.vn/moi-quan-he-viet-nam-eu-xung-dang-duoc-nang-len-tam-cao-moi-10225043023401186.htm
(7) 참조: “EVFTA 및 EVIPA 시행 맥락에서 베트남으로의 EU FDI 흐름에 대한 보고서”, VEPR-KAS, 2022년 10월, https://www.kas.de/documents/267709/21339049/FDI+flows+from+the+EU+to+Vietnam+in+the+context+of+EVFTA+and+EVIPA.pdf/6040b929-e29a-23ef-4383-b36dc589a492?version=1.0&t=1668587842125
(8) 저자는 외국인투자청 통계를 종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https://tapchicongsan.org.vn/web/guest/the-gioi-van-de-su-kien/-/2018/1109002/xu-huong-dau-tu-truc-tiep-nuoc-ngoai-cua-lien-minh-chau-au--co-hoi-va-thach-thuc-doi-voi-viet-nam.aspx


댓글 (0)

No data
No data
색조의 조각들 - 색조의 조각들
푸토의 '거꾸로 된 그릇' 차밭의 마법 같은 풍경
중부지역 3개 섬, 몰디브에 비유돼 여름철 관광객 유치
밤에 반짝이는 꾸이년 해안 도시 지아라이를 감상하세요
푸토의 계단식 논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심기 전 거울처럼 밝고 아름답습니다.
Z121 공장, 국제 불꽃놀이 마지막 밤 준비 완료
유명 여행 잡지가 손동 동굴을 '세계에서 가장 웅장한 동굴'이라고 칭찬했습니다.
서양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신비로운 동굴, 탄호아의 '퐁냐 동굴'과 비교돼
빈히만의 시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세요
하노이에서 가장 비싼 차는 1kg당 1,000만 동이 넘는데, 어떻게 가공하나요?

유산

수치

사업

No videos available

소식

정치 체제

현지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