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기반 및 목표
최근 중국은 각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평화롭고 안정적인 지역 환경과 항상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주변국과의 관계 공고화 및 발전을 전반적인 외교 정책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삼아왔습니다. 시진핑 중국 총서기 겸 국가주석은 "지리적 위치, 자연환경, 양자 관계 등 모든 측면에서 주변 지역은 중국 발전에 특별한 전략적 의의를 지닌다" (1) 고 강조 하며, "주변 외교를 추진하는 것은 '200년 목표'를 실현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향해 나아가는 데 필수적인 조건이다" (2) 고 강조했습니다 .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주변국과의 관계를 출발점으로 삼는 "더욱 공평하고 합리적인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 . 이는 상호 존중, 공동 발전, 그리고 공동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기반으로 중국의 지역적 연계를 심화하는 동시에, 이 지역에서 세계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향을 보여주는 한 걸음으로 평가됩니다.

2025년 5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ASEAN-걸프협력회의(GCC)-중국 정상회담 "공동 번영을 위한 경제적 유대 강화" 주제_사진: baochinhphu.vn
동남아시아는 중국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지역 안보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 지정학적 공간입니다. 따라서 중국이 "운명공동체" 구축이라는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를 첫 번째로 선택한 지역입니다. 정치 제도, 문화적 정체성, 그리고 발전 수준이 다양한 동남아시아는 중국이 개발도상국의 역할과 이익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기존 틀을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 관계 모델을 구축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여겨집니다. 동남아시아 "운명공동체" 정책의 전반적인 목표는 중국적 특색을 갖춘 국제 관계 모델을 촉진하고, 협력, 연계성, 그리고 안정을 강화하는 지역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서 중국의 중심적 역할이 더욱 명확하게 확립되는 영향력 확대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 정책은 2013년 10월 3일 인도네시아 의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총서기가 "중국-아세안 공동 운명 공동체를 공동으로 건설하자"라는 주제로 한 연설에서 명확히 표명되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총서기는 중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 간의 긴밀한 역사적, 문화적 유대를 강조하며 "서로 진심으로 대하고, 우호적으로 공존하며, 정치적, 전략적 상호 신뢰를 끊임없이 강화하자"는 바람을 확인했습니다 (4) . 중국은 ASEAN 국가들과 여러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보완성을 증진하며, 자원을 공유하고, 도전을 극복하고, 공동 발전과 번영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선의를 표명했습니다 (5) . 이 연설은 중국과 ASEAN이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있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책임을 공유한다는 견해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6) .
동남아시아에서 중국은 이중 국제관계 모델에 따라 "운명공동체" 정책을 시행해 왔습니다. 첫째,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협력 메커니즘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체" 형태의 협력 제도적 틀을 구축했습니다. 둘째,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긴밀하게 연계된 이익 체계에 참여하여 "발전의 운명을 함께하는" 평행이익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협력 측면에서 중국은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전면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와 같은 고위급 메커니즘을 통해 경제, 정치, 전략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합니다. 이익 측면에서 중국은 모든 당사자의 이익이 긴밀하게 연계되는 상호 연결 공간을 형성하여 유대감과 상호 의존성을 형성하고, 변화하는 지역 구조에서 중국의 지위와 역할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고자 노력합니다.
이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은 일대일로(BRI)를 경제적 축으로 경제, 정치, 사회문화, 비전통적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층적인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 협력 모델은 중국이 지역 협력 기준을 자국의 방향으로 조정하는 플랫폼으로 활용됩니다. 높은 대표성, 유연한 지정학적 환경, 그리고 유리한 연계성을 갖춘 동남아시아는 중국이 "소프트 네트워크 질서" 모델을 전개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소프트 파워", 경제적 연계, 협력 기준 조정 등의 도구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발도상국의 반응과 수용도를 관찰하여 독자적인 국제 관계 모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운명공동체" 정책이 동남아시아에서 효과적으로 이행된다면, 중국이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토대가 될 것이며, 국제 질서 형성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을 독창적인 방식으로 정의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아이디어에서 전략적 목표의 실현까지
중국의 동남아시아 "운명공동체" 구축 정책은 전략적 지향, 지역 제도화, 그리고 양자 협력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해 체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상호 존중과 주권 평등, 상생 협력, 비대립, 그리고 대화를 통한 이견 해결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을 지닌 새로운 국제 관계 모델입니다. 이러한 관계 구조는 유연한 협력 공간을 조성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정치적 상황에 얽매이지 않고 중국과의 관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또한 중국의 전략적 접근 방식과 이익에 부합하는 독자적인 지역 관계 구축을 지향하는 중국의 지향을 분명히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세 가지 주요 정책을 통해 정책을 실행합니다. 첫째, 실질적인 경제 협력을 증진하고, 특히 2020년 아세안(ASEAN) 국가들이 참여하는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 체결을 통해 지역 경제 연계성 강화에 기여합니다. 둘째, 아세안-중국 공중보건 협력 센터와 같은 구체적인 협력 메커니즘을 통해 보건, 기후 변화, 재난 대응 등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 공조를 강화합니다. 셋째, 안정적이고 비대립적인 지역 구조에 대한 공통 인식을 구축하기 위해 글로벌 안보 구상(GSI)을 비롯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제안하고 통합합니다. 이 세 가지 방식을 통해 중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광범위한 전략적 교류를 통해 관계를 증진하는 데 유리한 환경을 점진적으로 조성해 왔습니다.
다자 차원에서 중국은 아세안과의 관계 틀을 업그레이드하고 공식 문서에 "운명공동체" 내용을 제도화함으로써 협력을 강화해 왔습니다. 2013년 브루나이에서 개최된 아세안-중국 정상회의에서 양측은 중국-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촉진, 강화, 심화하고 공동 이익을 수호하기로 합의했습니다 (7) . 2021년에는 협력을 촉진하고 평화롭고 번영하며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지역을 건설하는 데 전념하는 "전면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습니다 (8) .
다자간 협력 과정과 더불어 중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양자 협력 협정 체결을 추진해 왔습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은 역내 여러 국가와 "운명공동체" 구축 협력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2025년까지 중국은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7개국과 상응하는 협력 틀을 구축하여 양자 관계 심화와 전략적 응집력 증진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중국은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공식 문서, 협력 협정,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통해 "운명공동체"라는 이념을 제도화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향후 세계적 차원으로 확장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과정은 중국이 다자간 협력과 양자 협력을 유연하게 활용하여 독자적인 지역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동남아시아는 전략적 공간일 뿐만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국제 질서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연결 고리이기도 합니다.
일부 평가 및 정책적 함의
중국이 동남아시아에서 추진하는 "운명공동체" 건설 정책은 단순한 지역 협력 전략이 아니라, 중국의 장기적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안보·경제 구조를 구축하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의 실행은 역내 국가들의 실질적 협력 기회를 열어주는 동시에, 전략적 자율성, 국제 관계 균형, 그리고 아세안의 중심적 역할과 관련된 과제를 제기합니다.
기회 측면에서 "공동 운명 공동체" 구축 정책은 특히 BRI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인프라 투자를 늘리는 데 기여했습니다. 라오스-중국 고속철도, 자카르타-반둥 노선(인도네시아), 짜욱퓨 항(미얀마)과 같은 많은 주요 프로젝트는 지역 간 연결성을 개선하고 물류 비용을 절감하며 ASEAN 경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경제 성장과 지역 개발을 위한 현대적인 인프라 네트워크를 촉진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ASEAN과 중국 간의 제도적 연계 및 정책 조정을 촉진하는 데 기여합니다. BRI 동기화에 대한 ASEAN-중국 공동 성명 및 ASEAN 연결성 계획 2025와 같은 문서의 서명은 양측 간의 전략적 경제적 약속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문화-사회 및 비전통적 안보와 같은 지속 가능한 개발의 다른 기둥으로 확장됩니다. 동시에 중국과 아세안은 아세안-중국 고위급 대화, 메콩-란창 고위관리회의 등 여러 정치·안보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하거나 개선해 왔습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특히 복잡한 강대국 간 경쟁 상황에서 정치적 신뢰 증진, 대화 촉진, 갈등 통제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공동 운명 공동체" 정책은 역내 국가들에게 많은 과제를 안겨줍니다. 중국의 투자와 무역 증가는 제대로 통제되고 조율되지 않을 경우, 특히 금융, 인프라, 기술 분야에서 경제 관계의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규모 자본을 투자하는 일대일로(BRI) 프레임워크 하의 일부 사업은 재정 부담을 가중시키고 일부 개발도상국의 부채 관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역 제도 측면에서, 양자 협력 채널을 통해 이 정책을 이행할 경우, 일부 전통적인 다자 협력 메커니즘의 역할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세안의 중심적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원국들이 내부 제도적 역량을 강화하고, 블록 내 연대를 증진하며, 지역 협력 이니셔티브 간의 조화를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이 정책은 주요 강대국 간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적응력을 요구합니다. 지역 안정을 유지하고 양극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핵심 파트너들과의 관계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이 지역 외부의 일부 국가들은 이 정책을 중국의 영향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반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립적 행위자로서 적극적으로 입지를 다지고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며 투명한 협력 메커니즘을 촉진해야 합니다.

토람 사무총장은 2025년 4월 14일부터 15일까지 베트남을 국빈 방문하는 중국 시진핑 사무총장 겸 국가주석을 환영했습니다. 사진: 아카이브
베트남의 외교 정책과 관련하여, 2025년 1월 24일 정치국은 "새로운 형태의 국제 통합에 관한" 결의안 제59-NQ/TW호를 발표했습니다. 이 결의안은 국제 통합을 동시적이고, 적극적이며,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며, 고품질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목표, 지침 및 방향, 과제, 그리고 주요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결의안 제59-NQ/TW호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합니다. 국제 경제 통합, 정치, 국방 및 안보 분야의 국제 통합, 과학, 기술, 혁신, 문화, 사회, 관광, 환경, 교육 및 훈련, 보건 및 기타 분야의 국제 통합, 국제 통합을 위한 역량 및 정치적 기량 향상. 결의안의 일관된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제 통합은 당의 영도 하에 전체 정치 체제와 전 국민의 사업이며, 국가 경영, 국민과 기업이 중심이자 주체이며, 원동력이며, 주력입니다. 모든 메커니즘과 정책은 국민의 권익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이는 베트남의 국제적 통합 과정에서 역사적인 전환점을 나타내는 획기적인 결정으로 간주되며, 베트남이 새로운 시대, 즉 국가 발전의 시대로 확고히 진입할 수 있도록 조국을 건설하고 방어하는 사업에서 국제적 통합의 역할을 확인했습니다.
중국이 영향력 확대 및 지역 구조 조정을 위한 전략적 조치로서 "운명공동체" 건설 정책을 점차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국과 전통적이고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온 오랜 동반자이자 가까운 이웃 국가인 베트남은 선의의 협력 정신에 따라 적절한 접근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야 하지만, 동시에 확립된 원칙과 전략적 방향을 항상 고수해야 합니다. 베트남이 협력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매우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지역 환경에서 최고의 국가 이익을 보장하는 데 있어 적극적이고 유연하며 일관된 대응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은 핵심 요소입니다.
첫째 , 베트남은 독립, 자립, 다각화, 그리고 외교 관계의 다자화를 지향하는 외교 정책을 지속적으로 고수해야 하며, 이를 모든 상황에서 전략적 안정과 주권 유지의 기반으로 삼아야 합니다. 지역 정세의 여러 변동 속에서도 비의존 원칙을 일관되게 중시해야 합니다. 또한, 경제, 과학기술 자립 역량과 국방 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베트남이 전략적 저항력을 강화하고, 평등과 호혜를 보장하기 위해 양자 및 다자 관계를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데 필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둘째 , 베트남은 자치 원칙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운명공동체" 정책이 가져오는 기회를 적극적이고 선택적으로 활용하고 활용하여 "베트남-중국 운명공동체"를 심화해야 합니다. 특히 인프라 연결성, 무역, 지속가능한 개발, 지역 간 협력 등의 분야에서 더욱 그렇습니다. "조화로운 혜택, 통제 가능한 위험" 원칙을 정책 기획 및 실행 과정에 제도화해야 합니다. 동시에, 전략 연구 기관의 역할을 강화하여 분석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부정적 추세를 조기에 파악하며, 적절한 조정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셋째 ,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적 방향은 변화하는 지역 구조 속에서 베트남의 "교량" 역할을 증진하는 것입니다. 효과적인 대화 역량, 중립적 입장, 건설적인 정신, 그리고 지역 및 국제 문제 처리에 대한 책임감으로 국제 사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베트남은 주요 국가 간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아세안 내 합의를 촉진하며, 동시에 지역 협력 메커니즘을 심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협력과 자율성, 적극적인 국제 통합과 확고한 정체성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점점 더 다층적이고 다극화되며 복잡해지는 지역 환경에서 베트남의 전략적 입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며, 베트남의 발전 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간단히 말해, 중국의 "운명공동체" 정책이 가져오는 기회와 도전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은 베트남이 최고의 국가이익을 보장하고, 지역 구조에서 주도적 역할을 유지하며, 동남아시아의 평화, 안정, 지속 가능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기반 위에서 유연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
(1), (2), (3) 참조: “五年来,习近平这样谈周边外交” (대략적인 번역: 지난 5년 동안 시진핑은 이웃 외교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화넷 , 2018년 10월 25일, http://www.xinhuanet.com/politics/xxjxs/2018-10/25/c_1123609951.htm
(4), (5), (6) 참조: “인도네시아 의회에서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연설”, 중국 중앙정부정보포털 , 2013년 10월 3일, https://www.gov.cn/ldhd/2013-10/03/content_2500118.htm
(7) 참조: “중국-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 공동 성명”, 중국 외교부, 2013년 10월 10일, https://www.mfa.gov.cn/ziliao_674904/1179_674909/201310/t20131010_9868327.shtml
(8) 참조: 중국 외교부 , 2021년 11월 22일, “中國-东盟建立对话关系30周年纪念峰会联合声明”(가역: 중국-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30주년 기념 정상회담 공동성명), https://www.mfa.gov.cn/gjhdq_676201/gj_676203/yz_676205/1206_676716/1207_676728/202111/t20211122_10451473.shtml
출처: https://tapchicongsan.org.vn/web/guest/quoc-phong-an-ninh-oi-ngoai1/-/2018/1156502/chinh-sach-xay-dung-%E2%80%9Ccong-dong-chung-van-menh%E2%80%9D-cua-trung-quoc-o-khu-vuoc-dong-nam-a--mot-so-nhan-identification-va-ham-y-chinh-sach.aspx






댓글 (0)